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투자] 챗GPT로 Q&A해서 공부하는 방법도 나쁘지는 않습니다.(초보)

by 흰구름 아저씨 2025. 7. 13.
반응형

1. 한국카본

주말에는 가끔 시간이 될 때, 챗GPT에 질문을 해서, 가끔 궁금했던 기업에 대해서, 기업공부를 해보곤 합니다.
오늘은 그동안 궁금했던, 밀양에 있는 한국카본이라는 회사입니다
 
Q1). 한국카본은 어떤 회사인가요?
A1). 복합소재 전문기업으로, 주로, 조선, 항공, 방산, 에너지 분야에 필수적인 탄소섬유 복합소재 및 단열재를 제조하는 회사입니다. 최근엔 조선업 슈퍼사이클, LNG선 수요확대, 방산수출, 친환경/우주항공 트렌드 등으로 인해 주목받고 있습니다.
주요 제품은 LNG선용 단열재, 탄소섬유복합재입니다. 강점은 세계 3대 LNG 단열재 업체이며, 위험요인은 환율변동, 조선수주사이클, LNG선 발주둔화 등이 있습니다.
 
Q2). 성장동력은 무엇인가요?
A2). 첫 번째로, LNG선 수혜로, 한국 조선 3사, 2024년~2027년까지 대규모 LNG선 인도예정입니다. 한국카본은 LNG선 단열재 세계시장 점유율 2~3위로, 이 분야는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수익성이 높습니다
두 번째로, 방산복합소재로, 군수무기용 경량 탄소복합소재 공급증가와 LIG넥스원과 한화시스템과 협업을 지속하고 있습니다. 
세 번째로, 자동차/우주항공 복합재로, 현대차, 한화에어로스페이스 등과 협력, 위성구조체용 소재 공급도 논의 중에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에너지저장 및 풍력으로, 고체산화물 연료전지(SOFC), 수소 등 차세대 에너지 확장에 있습니다. 
 
Q3). 한국카본은 독점회사인가요?
A3). 한국카본은 일부분야에서 사실상 과점 형태를 띠긴 하지만, 완전한 독점 기업은 아닙니다.
탄소섬유/복합소재 분양에서 국내 최대 규모를 자랑하며, 연간 21만㎢ 생산으로  1위 기업입니다. 특히 LNG선용 보냉/단열재에서는 국내에서 한국카본과 동성화인텍이 시장을 양분하는 과점체제입니다. 글로벌 수준에서는 GTT(프랑스) 등과 경쟁 중이며, 한국카본이 일본 이마바리 조선에도 독점공금 중인 사례는 있으나, 전체시장의 독점구조는 아닙니다.
 
Q4). 동성화인텍과의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A4). 동성화인텍은 LNG업황과 GTT기술계약에 민감한 순수 LNG인프라 기업이며, 한국카본은 LNG 단열재에 더해 방산, 전기차, 우주항공 소재로의 다변화를 통해 장기 성장 기반이 더 넓습니다.

한국카본 VS 동성화인텍의 비교

 
Q5). 한국카본의 자회사 실적과 지금은 저평가인가요?
A5). 한국카본의 자회사들이 아직 흑자전환이 되지 못해, 그룹전체 실적에 부담이 되고 있습니다.
2024년 11월에 보고된 DS증권에 따르면, ⓐ 한국항공기술케이티에이티(무인이동체 부품개발) 순손실 7.4억
ⓑ 한국복합소재(항공기 부품업체) 순손실 6.3억, ⓒ C2i s.r.o(슬로바키아)(자동차부품) 순손실 35억 ⓓ 한국글로벌솔루션(선박엔지니어링 서비스) 순손실 18억으로, 자회사들은 대부분 적자구조이며, 실제로 언제 수익성이 전환될지는 불확실한 상태입니다.
 
현재 밸류에이션은 PER 약 26배, PBR 약 2.3배, EV/EBITDA는 약 10배 수준으로 동종업계 대비 다소 높은 편입니다. 
그러나 예상이익성장률 66.9%, 업계평균 12.3% 크게 상회, 공정가치와 애널리스트 목표주가를 밑도는 수준에서 거래되고 있다며
저평가 가능성이 존재합니다. 즉 한국카본은 자회사 실적이 단기적으로 부담이 되지만, 모회사의 본업 수익강세와 고성장 전망이 전체 실적을 견인하고 있습니다. 밸류에이션 상에서는 성장대비 저평가 가능성이 있어 상방 여력이 충분히 존재합니다.

반응형